9. 놋뱀을 숭상했던 어리석은 백성들과 다를 바 없어

하나님의 말씀을 성취하기 위한 도구에 불과했던 사라! 그 사라를 중시한 김주철의 주장은 놋뱀을 숭상한 이스라엘 백성의 모습과 다르지 않습니다.

“여호와께서 불뱀들을 백성 중에 보내어 백성들을 물게 하심으로 이스라엘 백성 중에 죽은 자가 많은지라 …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이르시되 불뱀을 만들어 장대 위에 달라. 물린 자마다 그것을 보면 살리라. 모세가 놋뱀을 만들어 장대 위에 다니 뱀에게 물린 자마다 놋뱀을 쳐다본즉 살더라.”(민21:6~9)

뱀에게 물려 죽게 된 자들이 놋뱀을 쳐다보자 살아났습니다. 놋뱀 때문일까요 아니면 ‘놋뱀을 쳐다보면 살리라’고 하신 하나님의 말씀 때문일까요? 당연히 그들을 살게 한 것은 놋뱀이 아니라 하나님의 말씀의 능력이었습니다. 놋뱀은 하나님의 능력을 나타내기 위한 도구에 불과했습니다. 그런데 이스라엘 백성들은 어이없게도 이 놋뱀을 하나님의 성전에 두고 수백 년을 섬겼습니다.

“히스기야가 … 여호와 보시기에 정직히 행하여 여러 산당을 제하며 주상을 깨뜨리며 … 모세가 만들었던 놋뱀을 이스라엘 자손이 이때까지 향하여 분향하므로”(왕하18:3~4)

이삭이 아브라함의 후사가 된 것은 ‘하나님의 약속의 말씀’ 때문이었지 사라 때문이 아니었습니다. 하나님의 말씀을 이루기 위해 도구로 사용되었던 사라를 숭상시하는 김주철의 사고방식과 놋뱀을 숭상한 이스라엘 백성들의 어리석음이 다를 바가 없습니다.

8. 아브라함의 씨는 누구로 말미암는가?
10. 약속의 자녀가 되는 길